홈으로

발달 평가 & 맞춤 콘텐츠

비교가 아닌 이해, 그리고 실천

한국 아이들을 위해 설계한 K-TPI(2개월 단위) 지표로 아이의 ‘지금’을 읽고, 오늘 바로 해볼 맞춤 미션·놀이를 제안합니다.

K-TPI 특허 출원 중: 10-2025-0061591

어떻게 평가하나요?

  • K-TPI: 한국 문화·환경을 반영한 2개월 단위 발달 평가 지표
  • 7개 영역 스코어링: 대·소근육, 언어 이해, 사회·정서, 감각·돌발, 인지, 생활습관/자조
  • 맞춤형 리포트 자동 생성(영역 요약·강점/보완점)
  • 발달 지연 확인: 일정 점수 이하 시 보호자 주의 항목과 다음 행동 가이드 표시
  • 서술형 입력(잘하는 점/어려운 점)은 현재 준비 중 — 베타에서 수집 후 반영
  • ※ K-TPI 및 리포트 생성 로직은 특허 출원 중(출원번호: 10-2025-0061591)

무엇을 받게 되나요?

  • 스파이더 차트로 영역 균형 확인, 막대 그래프로 위험·주의·표준 구간 시각화
  • 종합 평가와 영역별 해석 + 핵심 미션
  • 낮은 발달 영역 중심의 추천 놀이외부활동
  • 기관(준비중): 기관 관찰평가 + K-TPI를 종합한 리포트 생성

0–6개월 전용: 오늘의 3가지 미션

아기는 매일 달라집니다. 하루 단위로 갱신되는 체크리스트로 가볍게 실천해요.

  • 발달 창(0–6개월)에 맞춘 매일 갱신 미션 3가지
  • 수유·수면·감각자극 등 안정 루틴 중심
  • 완료 체크 → 내 리포트에 성취 로그 반영

미션 확인

AI 서비스(개발 중)

  • AI 챗봇 — 정보 수집을 위해 시험 서비스 운영 중
  • 서술형 평가 AI 분석 — 보호자 서술형 텍스트의 의미/정서/행동 단서 추출
  • 맞춤 놀이 튜닝 — 아이 특성에 맞춘 놀이/미션 AI 추천

※ 베타 단계의 기능은 결과가 변동될 수 있으며, 전문 가이드를 보완해 드립니다.

평가 영역(요약)

  • 대근육 · 소근육
  • 언어 이해
  • 사회 · 정서
  • 감각 · 돌발 반응
  • 인지
  • 생활습관 · 자조

K-TPI는 2개월 단위 기준점으로 영역별 문항과 가중치를 달리해 점수화합니다.